반응형
📑 목차
폭염은 실외에서 장시간 활동하거나 작업하는 이들에게 큰 건강 위협이 됩니다. 건설 노동자, 택배 기사, 농업인 등은 폭염 속에서 작업을 지속해야 하며, 이에 따라 열사병, 열탈진 등의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폭염 속 야외활동자 및 근로자를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매뉴얼을 제공합니다.
1. 폭염이 야외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
- 체온 상승: 직사광선과 고온 환경 노출로 신체 내열기 증가
- 집중력 저하: 고온 환경에서 사고 발생률 증가
- 신체 기능 저하: 탈수로 인해 근육 경련, 어지럼증, 실신 등 발생
- 생산성 감소: 과로와 무더위로 작업 효율 저하
2. 고위험 직군 예시
- 건설 현장 인부
- 도로·보수 작업자
- 농업 및 어업 종사자
- 배달 및 택배 기사
- 경비원, 청소원 등 실외 근무자
3. 폭염 시 증상별 대응 요령
증상 | 대응 방법 |
---|---|
열사병 | 즉시 응급구조 요청, 시원한 곳으로 이동, 얼음찜질, 의식이 없으면 CPR |
열탈진 | 그늘에서 휴식, 수분 보충, 젖은 수건으로 몸 닦기 |
열경련 | 스트레칭 및 전해질 섭취, 근육 마사지 |
열실신 | 눕힌 후 다리 높이기, 수분 공급 |
4. 폭염 대비 일일 체크리스트
- ✅ 아침 체온 확인
- ✅ 물 2L 이상 마시기
- ✅ 땀 배출 쉬운 통풍성 옷 착용
- ✅ 11~16시 야외작업 지양
- ✅ 1시간마다 10분 이상 휴식
- ✅ 소금/이온음료 준비
- ✅ 작업 전 스트레칭
5. 고용주와 관리자 지침
- 작업 시간 조정: 새벽 또는 저녁 시간대로 변경
- 음료 및 휴식 공간 제공: 냉방 휴게소, 냉수, 이온음료 구비
- 온열질환 응급 대처 교육: 응급조치법 정기 교육 필수
- 보호 장비 지급: 햇빛 차단 모자, 쿨조끼 등 제공
6. 정부 및 지자체 지원 제도
- 행정안전부 폭염 안전 수칙 캠페인
- 지자체 야외근로자 냉방용품 지급 사업
- 건설현장 폭염휴식 권고지침
- 열사병 감시 체계 운영 (질병관리청)
반응형